중심지이론 썸네일형 리스트형 크리스탈러 중심지 이론 참고자료 - 벌집 구조의 위력 고교 사회 교과서에도 수록된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에 따르면 중심지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운송비가 커지기 때문에 재화나 용역의 도달 범위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만약 중심지가 하나라면 원형을 이루겠지만, 동일 계층의 중심지가 여러 개 분포하는 경우, 중심지 상호 간의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원형에 가장 가까운 정육각형 구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벌집 구조인데 휴대폰의 기지국을 설계할 때에도 지역을 육각형 구조로 나누면 가장 적은 비용으로 많은 지역에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벌집 구조는 KTX차량의 앞부분에 설치된 충격 완화장치인 '허니콤(honeycomb)'에도 응용되었는데, 벌집 구조의 알루미늄 합금 소재인 이 장치는 충돌에너지의 80%를 흡수할 정도로 뛰어난.. 더보기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지표상에 형성되고 있는 중심지(도시)는 크기와 분포가 매우 다양하다. 독일의 지리학자인 크리스탈러는 1933년 '남부 독일의 중심'라는 저서를 통하여 중심지의 분포나 크기는 일정한 법칙적인 질서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음을 발표하였다. 크리스탈러 중심지이론에서의 중심지는 주변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넓은 의미에서 도시와 동의어이다. 1. 이론의 전제 조건 그는 이론을 전개시키기 위하여 복잡한 지표 현상을 단순화시킨 균등한 공간으로 가정하였다. 지표는 등질 평야 지대이며, 교통 수단과 접근성이 동일하며, 운송비는 중심지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또한 소비 인구는 중심지 주변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이들의 소비 성향과 구매력은 모두 동일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재화를 구입하는 경제인으로 행동한다. 2. 중심.. 더보기 크리스탈러와 중심지이론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 - 임석회, 감정평가연구원 책임연구원- 수 많은 공간이론 가운데 아마도 크리스탈러의 중심지이론만큼 유명한 이론은 없을 것이다. 공간이나 지역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크리스탈러란 이름을 들었으리라 생각한다. 크리스탈러의 전생애에 걸친 연구가 중심지이론에만 그치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거의 모든 연구가 이와 관련된다. 그의 이론은 심지어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는 만큼 새삼 여기서 다시 소개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의문이 들면서도 공간조직에 관한 연구에서 중심지이론이 차지하는 비중을 본다면, 생애와 함께 그의 이론을 다시 한 번 살피는 것도 전혀 의미 없는 일이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크리스탈러의 생애와 학문적 배경 중심지이론의 창시자 발터 크리스탈러(Walter.. 더보기 이전 1 다음